주동근 운동 전에 왜 길항근 운동을 해야하는가? : 주동근과 길항근

2022. 8. 16. 12:51운동 exercise

 

지난 시간에는 근방추 골지건기관에 의한 상호억제와 자가억제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2022.08.01 - [운동 exercise] - 자가억제(Autogenic Inhibition)

2022.08.01 - [운동 exercise] - 상호억제(Reciprocal Inhibition)

 

상호억제(Reciprocal Inhibition)

안녕하세요 오늘은 상호억제의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먼저 상호억제가 무엇인지 알아야겠죠? 상호억제(Reciprocal Inhibition)란 어떤 근육이 동작을 원할하게 수행하

movexersice.tistory.com

 

자가억제(Autogenic Inhibition)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자가억제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상호억제에대해서 알아보았고 상호억제는 주동근의 정확한 수축을 위

movexersice.tistory.com

각각의 억제들은 근육의 원할한 기능과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합니다.

상호억제와 자가억제를 이해하고 이용한다면 보다 강도높은 운동을   있습니다.

오늘은  주동근 운동을 하기 전에 길항근 운동을 하는지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벤치 프레스

가슴 운동을 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벤치프레스라는 동작을 하기 위해서 우리는 벤치에 누워서 견갑을 고정시키고 운동을 진행할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견갑이 정확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고 밀기를 하는 동안 전인(날개뼈가 벌어지면서 앞으로 내미는 동작)이 일어난다면 우리는 가슴보다는 위팔세갈래근이나 전면 삼각근의 자극을 느끼기 쉬워지는데요?

전인

 이유는 견갑골의 전인으로 인해 가슴근육은늘어난 위치에서 수축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짧아진 위치에서 수축 하기 때문에 위팔세갈래근과 전면 삼각근의 개입이 높아집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벤치 프레스를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견갑을 벤치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필요가 있고 이러한 역할들은 승모근에 의해 이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승모근의 활성화 있어야지 우리는정확한 가슴운동을   있는 것입니다.

가슴근육 상부 섬유
가슴근육 하부섬유
가슴 근육 중부 섬유
승모근

 

위의 예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주동근을 정확하게 수축하기 위해서는 대항근의 활성화 필요합니다.

모순적으로 보일수 있지만 사실 대항근의 활성화 단축성 수축이 아닌 편심성 수축의 활성화 통해 주동근의 활성화를 보조하 것입니다. 적절한 대항근의 편심성 수축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우리 몸은 보상을 만들어  이며 이는 정확한운동에서 벗어나 부상 일으키고 비효율적인 움직임을 만들어   있습니다.

아이 아파라(대항근의 편심성 수축 활성화는 부상방지에 도움됩니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만약 본인이 운동을 하다가 자극이  느껴지지 않거나 동작 중에 불안정성을 느낀다면 운동 전에 대항근 운동을 시행하고 운동을 진행해보세요.

활성화된 대항근이 주동근의 수축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일어나게 도와줄 것입니다.


오늘은 주동근 운동 전에  대항근 운동을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근육의 수축종류와 억제에 대한 기능을모른다면 정확하게 이해가 되지 않을수 있으니 반드시 전에 올라왔던 글을 확인해주세요!

 

다음 시간에는 상호억제와 자가억제와 관련된 신장 반사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글쓴이 : 이성현 물리치료사 https://www.instagram.com/183.lsh/

 

 

최초등록일 2022.08.16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