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너라면 꼭 알아야하는 인체의 면과 축 : 시상면, 이마면, 수평면

2022. 7. 15. 23:34운동 exercise

2편. 운동을 잘하려면 종이접기를 잘해야한다?!

지난 시간에는 우리 근육이 어떤 방식으로 수축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우리 몸이 어떤 면에서 움직이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왜 우리 몸이 어떤 면에서 움직이는지 알아야 할까?

 우리 몸은 다양한 방향에서 움직이며 근육은 우리 몸에서 각각 만들어 낼 수 있는 동작이 있습니다. 근육이 수축을 하면서 운동을 하는 동안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서 운동을 하게 되고 이때 필요한 것이 움직임을 고정하는 축인데요. 우리가 움직임을 만드는 동안 정확한 축을 알지 못한다면 운동의 효율이 매우 떨어지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 축을 알기 위해서 우리는 반드시 운동이 일어나는 운동 면을 알아야 합니다. 또한 운동이 일어나는 면을 정확하게 모른다면 정확한 운동이 일어나지 않겠죠? 따라서 우리는 우리 몸의 어떤 근육이 어떤 면에서 움직이는지 알 필요가 있습니다.

 


시상면(Sagittal plane)

시상면은 우리 몸을 좌우로 나누는 면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몸을 앞뒤로 움직이는 것이 이 면에서 일어나는 대표적인 움직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는데요. 따라서 대표적인 움직임으로 굽힘과 폄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굽힘과 폄은 팔꿈치를 구부린다거나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 등이 포함됩니다.

 대표적인 운동으로 덤벨컬이나 레그컬, 반대로 트라이셉스 익스테션, 레그 익스텐션이 이 면에서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운동들이라고 할 수 있겠죠.

 이 면에서의 축은 어디일까요?

 모든 면의 축은 해당 면에 수직으로 오는 선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레그컬 운동을 할 때 무릎을 붙이는 곳이 존재하죠? 그곳에서 가로로 길게 이어지는 것이 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마면(Frontal plane)

이마면은 우리 몸을 앞뒤로 나누는 면을 의미합니다. 우리 몸에서 팔다리가 좌우로 멀어지는 동작이 이마면에서 나오는 동작이며 보통 벌림과 모음이라고 표현합니다. 벌림은 우리 몸에서 팔이나 다리가 옆으로 멀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가까워지면 모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운동으로는 사이드 레터럴 레이즈,, 팔벌려뛰기에서 팔을 좌우로 움직임이는 것이 있겠네요. 그렇다면 이마면의 축은 앞에서 뒤로 오는 선이 되겠네요

 

 


수평면(Horizontal plane)

수평면은 우리 몸을 위아래로 나누는 면을 의미합니다. 보통은 스포츠 활동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우리가 몸을 돌리는 동작이 수평면에서 일어나는 동작을 의미합니다. 야구에서 공을 던지는 동작, 골프에서 스윙을 하는 동작 등 회전을 하는 동작이 수평면에서 일어나는 동작들입니다.

 대표적인 운동은 러시안 트위스트나 스포츠 동작들이 있습니다. 수평면의 축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축이 되겠습니다.


오늘은 우리 몸에서 움직임이 일어나는 면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면과 움직임을 잘 익혀서

효과적으로 운동하고 효과적인 운동을 전달하는 트레이너로 성장합시다!

모두들 화이팅!!!

 

 

 

 

편집자 : 운동읽기 https://www.instagram.com/reading_workout/

원문 : 이성현 물리치료사 https://www.instagram.com/183.lsh/

 

 

사진자료 : nasm cpt, nasm ces, creator : 운동읽기 제작 자료

최초등록일 2022.07.15

최근수정일 2022.07.16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