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벤치프레스하는데 팔만 두꺼워지는 이유 : 협력근 우세
지난 시간에 작용근과 대항근, 협력근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2022.08.16 - [운동 exercise] - 주동근 운동 전에 왜 길항근 운동을 해야하는가? : 주동근과 길항근
주동근 운동 전에 왜 길항근 운동을 해야하는가? : 주동근과 길항근
지난 시간에는 근방추와 골지건기관에 의한 상호억제와 자가억제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2022.08.01 - [운동 exercise] - 자가억제(Autogenic Inhibition) 2022.08.01 - [운동 exercise] - 상호억제(Re..
movexersice.tistory.com
오늘은 우리 몸의 잘못된 사용방법 중 하나인 협력근 우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우리가 운동을 할때는 그 동작을 만들어 내는 주동근이 존재하고 그 동작을 보조하는 협력근이 존재합니다.
두근육군의 차이는 그 동작에 어느정도 참여하는지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우리 고관절을 폄 시키는 주동근은 햄스트링일까요 아니면 둔근일까요? 정답은 둔근입니다.
둔근이 우리의 고관절을 폄시키는 주동근으로 사용되며 햄스트링은 이 동작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만약 햄스트링이 고관절 폄의 주동근으로 변한다면 넙다리뼈의 전방활주가 일어나게 되고 결과적으로 고관절의 찝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정상적으로 동작을 만드는 주동근이 작동하지 않고 협력근이 주동근의 역할을 대신 하는 순간 우리 몸의 정상적인 움직임이 아닌 추가적인 동작이 발생하면서 다른 움직임이나 구조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협력근 우세는 주동근의 기능문제, 흔히 말하는 단축, 길항근의 저활성화, 협력근의 과활성화와 같은 문제로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내가 하는 동작에서 어떤 근육이 먼저 활성화 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협력근 우세가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고관절과 어깨관절복합체가 있으며 흔히 가슴운동을 하는데 위팔세갈래근이 아픈 경우가 바로 이런 경우에 해당합니다.
해결방안
만약 본인이 하는 동작에서 정확한 자극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면 낮은 중량을 이용하여 주동근을 활성화시킨 후 운동을진행하시거나 충분하 스트레칭이나 근막이완(폼롤러)을 하신후 운동을 진행하시는게 운동에 큰 도움이 되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