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exercise

근육 수축의 종류 : 동심성, 편심성, 등척성

for health 2022. 7. 14. 22:29

1편. 난 밀때도 당기고 당길때도 민다 그리고 무엇보다 난 버텨

 

우리가 운동을 할 때 우리 근육은 단순하게 짧아지면서만 수축할까요?

절대 그렇지 않죠

오늘은 우리가 운동을 할 때 혹시 생활을 하면서 근육이 어떤 방식으로 수축하는지 근육의 수축 방법 3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근육의 수축은 어떻게 일어날까?

 

우리의 근육은 신경계에 의해서 조절되게 됩니다.

우리의 뇌에서 근육을 수축하라고 명령을 내리면 우리 몸의 근육은 cross-bridge(교차다리주기)에 의해서 액틴과 마이오신이 움직이면서 수축하게 됩니다.

그리고 액틴과 마이오신이 많이 결합 할수록 우리는 더 큰 힘을 낼 수 있습니다.

 

등장성 수축이란(Isotonic contracion)?

등장성 수축은 근육의 길이가 변하면서 근육이 수축하는 종류입니다.

즉 길이가 짧아지면서 수축하는 구심성 수축(concentric contraction)과

근육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수축하는 원심성 수축이(ecentric contraction) 존재합니다.

 

두가지 수축의 종류를 쉽게 구분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등운동의 대표적인 운동인 털걸이(pull up)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우리가 근육의 힘을 이용해서 봉으로 올라갈 때 우리 등근육은 길이가 짧아지면서 수축하는 구심성 수축을 하고 있으며 올라간 몸이 아래로 내려갈 때 등근육은 우리 몸이 빠르게 내려가는 것을 버티면서 근육의 길이가 늘어나는 원심성 수축을 하게 됩니다.

쉽게 생각하면 내 힘으로 무게를 이겨낸다면 구심성 수축,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최대한 힘을 주면서 버티는 것을 원심성 수축이라고 합니다.

 

등척성 수축이란(Isometric contraction)?

등장성 수축이 근육의 길이가 변화면서 근육이 수축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등척성 수축은 근육의 길이가 변하지 않으면서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말합니다. 등척성 운동도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등장성 수축에서 턱걸이로 몸을 위로 올라간 후 내려오지 않고 최대한 버티고 있는 상태가 등척성 수축에 해당합니다. 

 

등속성 수축이란(Isokinetic contraction)?

등속성 수축은 근육의 길이가 변화하기는 하지만 일정한 힘으로 일정한 속도로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사용하는 근육의 모든 범위에서 일정한 부하가 주어지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기계를 이용하여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활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수축이며 일반적인 헬스장보다는 선수들이나 의료장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리

마지막으로 등장성 수축과 등척성 수축을 쉽게 나타내보겠습니다

 

(R=저항, F=힘)

 

구심성 수축 : R < F

원심성 수축 : R > F

등척성 수축 : R = F

 

오늘은 근육의 수축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다음편은 우리 몸이 움직이는 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초 업로드일 2022.07.14

LIST